맨위로가기

임준 (백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임준은 후한 말, 조조 휘하의 인물로, 둔전제 시행과 관도 전투에서의 활약으로 명성을 얻었다. 중모 현령 양원에게 하남윤을 지킬 것을 진언하고 주부로 임명되었으며, 조조에게 귀순하여 기(騎)도위에 임명되었다. 둔전제를 성공적으로 운영하여 군사력 강화에 기여했고, 관도 전투에서는 보급 부대를 보호하여 공을 세워 도정후에 봉해졌다. 건안 9년에 사망했으며, 조비 시대에 성후로 추증되었다. 그는 관대하고 도량이 넓었으며, 조조의 신임을 얻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4년 사망 - 공손도
    공손도는 후한 말 요동 지역의 군벌로, 요동태수를 거쳐 평주목을 자칭하며 세력을 확장했고, 고구려와 오환을 정벌하며 독립 의지를 드러내다 조조에게 무위장군으로 임명되었으나 불만을 품고 사망했다.
  • 204년 사망 - 손하
    손하는 오나라 장수로, 유씨에서 손책의 총애로 손씨 성을 받았고 손견을 따라 여러 전투에 참여했으며, 손책 사후 손권을 섬겨 이술 토벌 등에 공헌했으나 손익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묻다 규람과 대운에게 살해당했다.
  • 생년 미상 - 손니 알리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의 군주로서 니제르 강 유역을 장악한 후 팀북투와 젠네를 정복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제국을 확장했으며, 전통 신앙과 이슬람교 조화, 법에 의한 국가 통제, 무역 확립 등 내치에도 힘썼다.
  • 생년 미상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임준 (백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임준
원어 이름任峻
백달 (伯達)
시호성공후 (成侯)
작위도정후 (都亭侯)
관직
장수교위 (長水校尉)알 수 없음 ~ 204년
전농중랑장 (典農中郎將)기원후 196년경 ~ 알 수 없음
기도위 (騎都尉)기원후 190년경 ~ 알 수 없음
주부 (主簿)양원 (楊原) 휘하, 189년 ~ 190년경
생애
출생지예주 (豫州) 하남군 (河南郡) 중모현 (中牟縣)
사망204년
배우자조조의 사촌
자녀임선 (任先)
임람 (任览)
소속
주군조조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Ren Jun

2. 생애

후한 말의 혼란기, 임준(任峻)은 중모(中牟) 현령양원에게 하남윤을 굳게 지킬 것을 진언하고, 그의 주부로 임명되었다. 더 나아가, 양원을 행하남윤으로 임명하도록 조정에 상표했다. 그 후, 조조가 중모로 들어오자, 임준은 같은 군의 장분과 협의하여 조조에게 귀순했다. 조조는 크게 기뻐하며, 임준을 기(騎)도위로 임명하도록 상표하고, 더 나아가 자신의 종매를 아내로 삼게 하여 꽤나 신임했다. 조조가 정벌할 때는, 항상 임준이 치중 보급을 위해 유수를 맡았다.

조지한호 등이 둔전제의 실시를 진언하자, 임준이 전농중랑장으로 임명되어 둔전제의 실지 운용을 담당했다. 임준은 이를 성공시켜, 조조 진영의 군사적·정치적 강화에 크게 공헌했다. 또한 관도 전투에서는, 보급 부대의 수비를 강화하여 원소 군의 공격을 저지했다. 이러한 실적에 의해 임준은 도정후(都亭侯)에 봉해지고, 봉읍 300호를 받았다. 더 나아가 장수교위(長水校尉)로 승진했다.

건안 9년(204년)에 사망했다. 조조는 한동안 눈물을 흘리며 슬퍼했다. 아들 임선이 뒤를 이었으나, 임선 사망 후 아들이 없었기에 개역되었다. 조비 (문제)의 시대에 성후(成侯)로 시호되었으며, 또한 둘째 아들인 임람은 관내후에 봉해졌다.

2. 1. 후한 말의 혼란과 조조 귀부

후한 말의 혼란기에 임준은 중모현(中牟縣) 현령 양원(楊原)에게 하남윤(河南尹)을 굳게 지키도록 진언하고, 주부(注簿)로 임명되었다.[6] 임준은 양원에게 하남윤의 직무를 수행하고 하남군의 모든 현을 지휘 하에 두어 병력을 모아 동탁의 군대와 싸울 것을 조언했다.[6] 양원은 임준의 제안을 실행하여 임준을 주부로 임명하고, 조정에 상주하여 양원을 행하남윤(行河南尹)에 임명했다.[7][8] 비록 주준이 공식 직함을 가지고 있었고[9] 양원의 통제는 하남의 동부 지역으로 제한되었지만,[10] 임준의 계책은 효과를 보았다.

190년,[4] 조조동탁 토벌전에 참여하기 위해 군대를 일으켜 중모현에 들어섰을 때, 하남군 관료들은 조조를 따를지 결정하지 못했다. 임준은 장분(張奮)과 의논한 후 조조에게 귀부하기로 결정하고, 중모현은 조조에게 합류했다. 임준은 자신의 가족, 친척, 하인, 그리고 가신들을 모두 모아 수백 명을 이끌고 조조에게 합류했다.[12]

조조는 임준의 지원에 매우 기뻐하며 그를 기도위(騎都尉)로 임명하고 자신의 사촌과 결혼하도록 주선하는 등 임준을 측근으로 대우했다.[12] 조조가 정벌에 나설 때, 임준은 항상 치중 보급을 맡았다. 조지와 한호가 둔전제(屯田制) 시행을 주장한 후, 임준은 전농중랑장(典農中郞將)에 임명되어 시행을 담당하여 조조 진영의 군사적 · 정치적 강화에 크게 기여하였다.[36] 관도대전(官渡大戰) 시에는 보급부대의 수비를 강화하여 원소의 공격을 저지하였고, 이 공적으로 도정후(都亭侯)에 봉해져 봉읍 300호를 받았다. 이후 장수교위(長水校尉)로 승진하였다.

건안(建安) 9년(204년), 임준은 숨을 거두었다. 조조는 눈물을 흘리며 슬퍼하였고, 아들 임선(任先)이 뒤를 이었다. 문제(文帝) 대에 임준은 성후(成侯)로 추증되었고, 차남 임람(任覽)이 관내후(關內侯)에 봉해졌다.[36]

2. 2. 둔전제 시행과 관도대전

후한 말 혼란기에 임준은 중모현령 양원에게 하남윤을 굳게 지키도록 진언하고 주부로 임명되었다. 이후 양원을 행하남윤에 임명할 것을 조정에 상주하였다.[36] 조조가 중모에 들어오자 임준은 장분과 함께 조조에게 귀부하였고, 조조는 그를 기도위에 임명하고 종매를 아내로 삼게 하였다.[36] 조조가 정벌에 나설 때 임준은 항상 치중 보급을 맡았다.[13]

196년, 조조는 헌제를 자신의 근거지인 허현(현재의 쉬창)으로 데려와 새로운 황실 수도로 삼고, 사실상 한나라 중앙 정부와 명목상의 황제를 장악하게 되었다.[14] 당시 기근이 만연하여 군벌들은 군대에 꾸준한 물자를 공급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18] 이에 조지는 한호의 지지를 받아[19] 농업의 둔전제 시스템을 시행할 것을 제안했고, 조조는 조지의 제안에 따라 임준을 전농중랑장으로 임명하여 둔전 시스템의 시행을 감독하게 했다.[21] 임준은 둔전제를 성공적으로 운영하여 조조 진영의 군사적, 정치적 강화에 크게 기여하였다.[22]

200년, 관도 전투에서 임준은 무기, 장비, 물자 등의 물류 및 수송을 최전선으로 책임졌다.[24] 원소의 군대가 여러 차례 조조의 보급 부대를 공격하자, 임준은 보급 부대를 1,000대의 수레 그룹으로 조직하고, 여러 개의 다른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철저히 보호하도록 조치했다. 그 후 원소의 군대는 조조의 보급 부대를 감히 공격하지 못했다.[24][25] 이러한 공적으로 임준은 도정후에 봉해져 봉읍 300호를 받았고, 이후 장수교위로 승진하였다.[36]

2. 3. 사망과 후계

건안(建安) 9년(204년), 임준은 숨을 거두었다. 조조는 임준의 죽음에 눈물을 흘리며 슬퍼하였다.[28] 아들 임선(任先)이 아버지의 작위와 제후작을 물려받았으나, 아들이 없어 그가 죽은 후 그의 제후작은 폐지되었다.[28]

문제(文帝) 대에 임준은 성후(成侯)로 추증되었고,[29][30][31] 차남[36] 임람(任覽)은 관내후(關內侯)에 봉해졌다.[30][31]

3. 인물상

임준은 너그러우며 도량이 있었고, 일을 적절하게 시행하였다. 조조는 임준의 의견을 자주 좋게 받아들였고, 기근이 닥쳤을 때 임준은 친구의 자식들을 돌봐주는 한편 문중에서 가난한 자들을 도와주었기 때문에 신의가 있다고 칭송받았다.[32] 진수는 임준을 뛰어난 행정가 목록에 포함시켰으며,[33] 조조를 일찍부터 따랐으며 곡창을 채운 농업 발전에 기여했다고 언급했다.[35]

4. 평가

임준은 관대하고 이해심이 많으며 너그러운 성품으로 알려졌으며, 조조는 그의 정직한 조언을 높이 평가했다.[32] 기근이 닥쳤을 때 임준은 친구, 지인, 먼 친척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었으며, 가난하고 어려운 사람들을 돕기 위해 사재를 아끼지 않았다. 그는 그의 친절함으로 사람들에게 많은 존경과 칭찬을 받았다.[32]

진수는 임준의 전기가 수록된 인물들의 평가에서, 임준을 뛰어난 행정가 목록에 포함시켰으며,[33] 위나라 시대의 유명한 행정가 중 한 명으로 꼽았고,[34] 조조를 일찍부터 따랐으며 곡창을 채운 농업 발전에 기여했다고 언급했다.[35] 임준은 관대하고 도량이 넓었으며, 일을 처리하는 데 합리성이 있었다. 의견을 말할 때마다 조조로부터 그 상당수를 훌륭한 말이라고 평가받았다. 기근이 발생했을 때는 친구의 고아들을 돌보고, 일족 내의 빈곤한 사람들을 구제했기 때문에 신의가 있는 인물로 평가받았다.

4. 1. 긍정적 평가

임준은 관대하고 이해심이 많으며 너그러운 성품으로 알려졌다.[32] 조조는 그의 정직한 조언을 높이 평가했다. 기근이 닥쳤을 때 임준은 친구, 지인, 먼 친척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었으며, 가난하고 어려운 사람들을 돕기 위해 사재를 아끼지 않았다. 그는 그의 친절함으로 사람들에게 많은 존경과 칭찬을 받았다.[32]

진수는 임준의 전기가 수록된 인물들의 평가에서, 임준을 뛰어난 행정가 목록에 포함시켰으며,[33] 위나라 시대의 유명한 행정가 중 한 명으로 꼽았고,[34] 조조를 일찍부터 따랐으며 곡창을 채운 농업 발전에 기여했다고 언급했다.[35] 임준은 관대하고 도량이 넓었으며, 일을 처리하는 데 합리성이 있었다. 의견을 말할 때마다 조조로부터 그 상당수를 훌륭한 말이라고 평가받았다. 기근이 발생했을 때는 친구의 고아들을 돌보고, 일족 내의 빈곤한 사람들을 구제했기 때문에 신의가 있는 인물로 평가받았다.

4. 2. 부정적 평가

임준은 관대하고 도량이 넓었으며, 일을 처리하는 데 합리성이 있었다. 의견을 말할 때마다 조조로부터 그 상당수를 훌륭한 말이라고 평가받았다. 기근이 발생했을 때는 친구의 고아들을 돌보고, 일족 내의 빈곤한 사람들을 구제했기 때문에 신의가 있는 인물로 평가받았다.

5. 삼국지연의에서의 등장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전농중랑장으로 임명되었을 때 등에 이름이 나올 뿐, 특별한 활약은 없다. 오히려 그의 부하인 창관으로 등장하는 왕후가 작중에서 더 두드러진다.

참조

[1] 서적 Sanguozhi vol
[2] 서적 Sanguozhi
[3] 서적 Zizhi Tongjian
[4]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Later Han to the Three Kingdoms 23–220 AD Brill
[5] 서적 Sanguozhi
[6] 서적 Sanguozhi
[7] 서적 Sanguozhi
[8] 서적 Sanguozhi
[9] 서적 Hou Hanshu vol
[10]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Later Han to the Three Kingdoms 23–220 AD Brill
[11] 서적 Imperial Warlord: A biography of Cao Cao 155-220 AD Brill 2010-08-18
[12] 서적 Sanguozhi
[13] 서적 Sanguozhi
[14] 서적 Zizhi Tongjian
[15] 서적 Imperial Warlord: A biography of Cao Cao 155-220 AD Brill 2010-08-18
[16] 서적 Ts'ao Ts'ao and the Rise of Wei: The Early Years Columbia University
[1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2 the Six Dynasties, 220-589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서적 Sanguozhi
[19] 서적 Weishu in Sanguozhi
[20] 서적 The Three Kingdoms and Western Jin A History of China in the Third Century A.D.
[21] 서적 Sanguozhi
[22] 서적 Sanguozhi vol
[23] 서적 Zizhi Tongjian
[24] 서적 Sanguozhi
[25] 서적 Ts'ao Ts'ao and the Rise of Wei: The Early Years Columbia University
[26] 서적 Sanguozhi
[27] 서적 Sanguozhi
[28] 서적 Sanguozhi
[29] 서적 Zizhi Tongjian
[30]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Later Han to the Three Kingdoms 23–220 AD Brill
[31] 서적 Sanguozhi
[32] 서적 Sanguozhi
[33] 서적 Sanguozhi vol
[34] 서적 Sanguozhi vol
[35] 서적 Sanguozhi vol
[36] 문서 중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